I. 서론
루아우(Luau)는 루아(Lua)에서 파생된 스크립팅 언어로, 주로 온라인 게임 플랫폼이자 게임 제작 시스템인 로블록스(Roblox) 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루아우는 성능 향상, 점진적 타이핑 지원, 강화된 샌드박싱 기능 등 여러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로블록스 생태계 내에서 강력한 도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본 보고서는 루아우 프로그래밍 언어의 정의와 기원, 주요 특징과 문법, 루아와의 관계, 주요 사용 분야와 응용 사례, 그리고 코드 예시를 상세하게 다루어 루아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II. 루아우의 탄생 배경
•
루아의 역사적 맥락: 루아는 1993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 위치한 교황청 가톨릭 대학교(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Rio de Janeiro)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 그룹(Tecgraf) 소속이었던 호베르토 이에루살림스키(Roberto Ierusalimschy), 루이스 엔리케 데 피게이레도(Luiz Henrique de Figueiredo), 발데마르 셀레스(Waldemar Celes)에 의해 탄생했습니다. 당시 브라질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강력한 무역 장벽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는데 , 이는 국내 산업 육성을 목표로 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정책 환경은 해외 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을 제한했고, Tecgraf는 자체적으로 필요한 도구를 개발해야 했습니다. Tecgraf의 주요 고객 중 하나였던 브라질 국영 석유 회사 페트로브라스(Petrobras)는 맞춤형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높았으나, 수입 제한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Tecgraf는 데이터 기술/구성 언어인 SOL(Simple Object Language)과 데이터 입력 언어인 DEL(data-entry language)과 같은 초기 프로그래밍 도구를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SOL과 DEL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조가 부족했고, 페트로브라스는 더 강력한 프로그래밍 기능을 요구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SOL의 "태양(Sun)"이라는 의미에 빗대어 포르투갈어로 "달(Moon)"을 의미하는 루아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루아는 속도, 이식성, 확장성, 개발 편의성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며 , ANSI C로 작성된 인터프리터를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브라질의 시장 보호 정책은 의도치 않게 루아와 같은 기초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의 촉매제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외부 요인이 기술 혁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해외 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 제한으로 인해 현지 개발자들은 자체 솔루션을 만들어야 했고, 페트로브라스의 맞춤형 소프트웨어 요구와 수입의 어려움이 SOL과 DEL 개발로 이어졌으며, 궁극적으로 루아 탄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습니다.
•
로블록스에서의 루아우 등장: 로블록스는 2006년경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위한 스크립팅 언어로 루아 5.1 버전을 채택했습니다. 초기에는 사용자들이 상호 작용이 없는 콘텐츠만 제작할 수 있었으나, 더욱 풍부한 게임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완전한 튜링 완전(Turing-complete) 프로그래밍 언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로블록스가 루아를 선택한 이유는 당시 파이썬(Python)이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와 같은 다른 언어에 비해 단순하고 빨랐으며,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내장될 수 있는 임베디드 기능 때문이었습니다. 루아는 큰 표준 라이브러리 없이 설계되어, 로블록스는 자신들의 플랫폼에 특화된 API 세트를 정의하고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로블록스가 루아를 선택한 것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 플랫폼에서 스크립팅 언어의 단순성과 임베디드 기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학습 용이성과 플랫폼 통합의 용이성이 제작자 역량 강화에 핵심적임을 시사합니다. 다양한 기술적 전문성을 가진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플랫폼에서 비교적 배우기 쉬운 언어가 필수적이었으며, 루아의 임베디드 기능 덕분에 로블록스는 자신들의 플랫폼에 쉽게 통합하고 자체 API를 노출할 수 있었습니다.
•
루아우로의 진화: 시간이 지나면서 로블록스는 자사의 플랫폼에서 더욱 정교한 게임 개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루아 5.1 버전에 상당한 변화와 개선을 가했고, 그 결과 루아우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진화는 2006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언어 자체와 구현 방식 모두에 상당한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 게임의 복잡성 증가, 개발팀 규모 확대, 로블록스 애플리케이션 및 에디터의 코드베이스 증가 등이 이러한 진화의 주요 동인이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로블록스의 내부 애플리케이션 및 에디터 코드는 루아우로 100만 줄(1+MLOC)을 넘어섰습니다. 로블록스는 성능, 사용 편의성, 더 나은 언어 도구 지원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루아 5.1 버전이 로블록스의 특정 요구와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영역의 진화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어떻게 수정되고 개선되었는지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과 규모가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에 상당한 변화와 개선을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로블록스 플랫폼의 성장과 함께 원래 루아 5.1 버전의 한계가 분명해졌고, 더 복잡한 게임을 처리하기 위한 더 나은 성능, 대규모 코드베이스를 관리하는 더 큰 팀을 위한 향상된 도구, 사용자 생성 콘텐츠에 대한 강화된 보안의 필요성이 전문화된 방언 개발로 이어졌습니다.
III. 루아우의 핵심 기능 및 특징
•
성능 향상: 루아우는 빠른 바이트코드 인터프리터를 특징으로 하여 루아보다 더 효율적입니다. 루아우의 런타임은 완전히 재작성된 인터프리터와 기타 성능 혁신을 통해 루아 5.1 런타임의 고도로 수정된 버전입니다. 이러한 최적화는 루아우의 성능에 대한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루아우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램에 따라 루아JIT의 인터프리터와 경쟁할 수 있습니다. 일부 벤치마크에서는 루아우가 해석형 스크립팅 언어 영역에서 가장 빠른 언어 중 하나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x64 및 arm64 플랫폼에서는 성능 향상을 위한 선택적 JIT(Just-In-Time) 컴파일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원되는 아키텍처에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나중에 추가되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루아는 루아JIT를 통한 JIT 컴파일에 중점을 두었으며, 루아우는 초기에는 안정적인 고성능 코드와 플랫폼 호환성에 중점을 두어 JIT를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JIT 컴파일은 루아우가 실행되는 많은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해석된 컨텍스트에서 안정적인 성능이 우선시되었습니다.
루아우의 성능 전략은 광범위한 플랫폼에서 일관되게 빠른 인터프리터를 우선시하며, 안정성과 광범위한 호환성을 위해 초기에는 JIT를 생략했습니다. 특정 아키텍처에 대한 선택적 JIT의 후속 도입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 방식을 나타냅니다. 루아우 성능 향상의 주요 목표는 JIT 컴파일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여 로블록스가 지원하는 다양한 장치에서 게임 코드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실행을 보장하는 것이었습니다. 인터프리터를 크게 최적화함으로써 루아우는 강력한 기본 성능을 달성합니다. 더 강력한 아키텍처에 대한 JIT의 후속 도입은 플랫폼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특정 시나리오에서 추가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합니다.
•
점진적 타이핑 시스템: 루아우는 개발자가 코드에 선택적으로 타입 주석을 추가할 수 있는 점진적 타이핑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코드 품질과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추가 기능이었습니다. 점진적 타이핑의 이점으로는 코드 명확성 향상, 유지 관리 용이성, 초기 오류 감지 등이 있습니다. 타입은 루아우가 TypeScript와 같은 정적 타입 언어와 유사한 IDE 도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변수 및 함수에 대한 타입 주석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local k: string = y:rep(x)는 k를 문자열로 선언합니다. 함수 타입은 >를 사용하여 지정합니다(예: local foo: (number, string) -> boolean). 정적 분석을 위한 타입 검사기(luau-analyze)도 제공됩니다. 이 도구는 런타임 전에 잠재적인 타입 오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루아는 동적 타입 언어로, 타입 검사는 런타임에 이루어집니다. 루아에서는 타입이 변수가 아닌 값과 연결됩니다.
루아우에 점진적 타이핑을 도입한 것은 로블록스 생태계 내 코드의 견고성과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이 기능은 타입 관련 오류를 조기에 감지하고 코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대규모 및 복잡한 코드베이스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합니다. 로블록스 게임과 내부 코드베이스의 규모와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동적 타이핑의 디버깅 및 코드 유지 관리 측면에서의 한계가 더욱 분명해졌고, 런타임 오류를 추적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점진적 타이핑은 동적 타이핑의 유연성과 정적 타이핑의 안전성 사이의 균형을 제공합니다. 개발자가 선택적으로 타입 주석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루아우는 정적 분석을 통해 개발 프로세스 초기에 타입 불일치를 포착하여 더욱 안정적이고 유지 관리하기 쉬운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향상된 샌드박싱: 루아우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표준 라이브러리 세트를 제한하고 추가 샌드박싱 기능을 구현합니다. 이는 로블록스 플랫폼의 보안에 매우 중요합니다. 샌드박싱은 (게임 개발자가 작성한) 신뢰할 수 없는 코드와 (로블록스가 작성한) 권한 있는 코드를 함께 실행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플랫폼의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표준 루아와는 다른 실행 환경이 조성됩니다. 일부 함수는 내장 라이브러리에서 제거되었고, 이러한 샌드박스 환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함수가 추가되었습니다.
루아우의 정교한 샌드박싱 메커니즘은 수많은 사용자 생성 코드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로블록스 플랫폼의 초석입니다. 보안에 대한 이러한 초점은 개발자와 플레이어 모두에게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수백만 명의 개발자가 게임을 만들고 공유하는 로블록스 플랫폼의 규모를 고려할 때 강력한 보안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루아우의 향상된 샌드박싱은 사용자 작성 스크립트의 기능을 제한하여 중요한 시스템 리소스에 액세스하거나 플랫폼의 핵심 기능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이를 통해 로블록스는 다양한 소스의 다양한 코드를 제어되고 안전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루아와의 호환성: 루아우는 루아 5.1 버전과의 역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이는 유효한 루아 5.1 코드가 루아우에서도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존 로블록스 개발자에게 원활한 전환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설계 목표였습니다. 루아우는 이후 루아 버전의 일부 기능도 통합합니다. 그러나 모든 루아 5.1 이후 버전의 기능이 지원되는 것은 아닙니다. 로블록스는 특정 사용 사례와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른 설계 결정을 내렸기 때문에 루아우는 이후 루아 버전의 완전한 상위 집합은 아닙니다. 로블록스는 루아의 설계 결정에 항상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루아 5.1 버전과의 역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은 기존 콘텐츠 제작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로블록스 생태계 내에서 루아우 채택을 용이하게 했습니다. 이러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은 이후 루아 버전의 모든 새로운 기능을 채택하는 것보다 원활한 전환을 우선시했습니다. 로블록스는 루아우 개발을 시작했을 때 루아 5.1 버전으로 작성된 방대한 기존 코드베이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개발자가 새로운 언어를 채택하기 위해 모든 코드를 다시 작성해야 한다면 상당한 장벽이 되었을 것입니다. 역호환성을 보장함으로써 로블록스는 개발자가 기존 스크립트를 계속 사용하면서 자신의 속도에 맞춰 루아우의 새로운 기능과 성능 향상을 점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마찰을 최소화하고 루아우의 광범위한 채택을 장려했습니다.
•
구문 혁신: 루아 5.1 버전과 구문적으로 역호환되면서도 루아우는 향상된 편의성을 위해 새로운 구문 기능을 확장했습니다. 이러한 추가 기능은 개발자에게 언어를 더욱 친숙하고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구문 추가의 예로는 복합 할당 연산자(+=, =, 등), continue 문, 삼항 연산자와 유사한 if x then y else z 표현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많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일반적입니다.
루아우에 구문 설탕을 도입한 것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패턴을 표현하는 더 간결하고 친숙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 것입니다. 이는 더 읽기 쉽고 유지 관리하기 쉬운 코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른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문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루아우는 이러한 구조에 이미 익숙한 개발자의 인지 부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예를 들어, +=와 같은 복합 할당 연산자는 변수 값을 업데이트하는 더 간결한 방법을 제공하여 코드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타이핑을 줄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continue 문은 루프의 다음 반복으로 건너뛰는 더 직접적인 방법을 제공하여 코드 흐름을 더 명확하게 만듭니다.
•
통합 분석 도구: 루아우는 린터와 타입 검사기를 포함한 기본 제공 분석 도구를 제공합니다(총칭하여 스크립트 분석이라고 함). 이러한 도구는 luau-analyze 명령줄 실행 파일에 통합되어 있습니다. luau-analyze 명령줄 실행 파일은 오류 및 경고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개발자가 일반적인 실수를 식별하고 코드 품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린터는 코딩 스타일을 적용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반면, 타입 검사기는 타입 관련 오류를 조기에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루아우 개발 환경 내에 강력하고 통합된 분석 도구를 포함한 것은 개발자가 고품질의 오류 없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로블록스의 노력을 강조합니다. 도구에 대한 이러한 초점은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개발 프로세스에 기여합니다. 개발자에게 기본 제공 린팅 및 타입 검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루아우는 개발 프로세스 초기에 코드에서 잠재적인 문제를 더 쉽게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런타임 오류의 가능성을 줄이고 코드베이스의 전반적인 품질과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도구를 루아우 생태계에 직접 통합하면 모든 개발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IV. 루아와 루아우의 관계
•
유사점: 루아와 루아우는 모두 가볍고, 고수준이며, 멀티 패러다임 스크립팅 언어입니다. 절차적, 객체 지향적,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모두 지원합니다. 루아우는 루아 5.1 버전에서 파생되어 핵심 구문과 많은 기본 개념을 계승했습니다. 유효한 루아 5.1 코드는 일반적으로 유효한 루아우 코드입니다. 또한, 두 언어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 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스크립팅 언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차이점:
◦
타이핑: 루아는 동적 타입 언어인 반면, 루아우는 점진적 타입 언어입니다. 이는 타입 처리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점입니다.
◦
성능: 루아우는 더 빠른 바이트코드 인터프리터와 선택적 JIT를 갖추고 있어 일반적으로 표준 루아보다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루아우는 특히 성능에 최적화되었습니다.
◦
샌드박싱: 루아우는 표준 루아에 비해 더 강력하고 내장된 샌드박싱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로블록스에서의 루아우 사용에 있어 핵심적인 차별점입니다.
◦
구문: 루아우는 표준 루아에는 없는 인체 공학적 기능을 통해 루아 5.1 구문을 확장했습니다. 이러한 확장은 개발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분석 도구: 루아우에는 표준 루아에는 없는 기본 제공 린터와 타입 검사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코드 품질과 오류 감지에 도움이 됩니다.
◦
표준 라이브러리: 루아우는 샌드박싱 요구 사항과 로블록스 내 특정 사용 사례로 인해 루아 5.1 버전과 비교하여 표준 라이브러리에 일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부 함수는 제거되거나 추가되었습니다.
◦
주요 사용 사례: 루아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반면, 루아우의 주요 초점은 로블록스 플랫폼 내에 있습니다. 루아는 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개발 초점: 루아 개발은 범용 임베디드 기능에 중점을 둔 PUC-Rio의 팀에서 주도하는 반면, 루아우 개발은 로블록스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로블록스에서 주도합니다. 로블록스는 커뮤니티 내 협업을 촉진하고 다른 회사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루아우를 오픈 소스로 공개했습니다.
•
표: 루아와 루아우의 주요 차이점
특징 | 루아 | 루아우 |
타이핑 | 동적 타이핑 | 점진적 타이핑 |
성능 | 일반적으로 좋음, LuaJIT를 통해 매우 빠름 | 더 빠른 인터프리터, 선택적 JIT |
샌드박싱 | 기본 메커니즘 제공 | 더 강력하고 내장된 기능 |
구문 확장 | 없음 | 복합 할당, continue, 삼항 연산자 유사 표현식 등 추가 |
기본 제공 분석 도구 | 일반적으로 없음 | 린터 및 타입 검사기 포함 |
주요 사용 사례 | 임베디드 시스템, 게임 등 다양함 | 주로 로블록스 플랫폼 내 게임 개발 |
개발 초점 | 범용 임베디드 기능 | 로블록스 플랫폼의 특정 요구 사항 |
Sheets로 내보내기
V. 적용 분야 및 예시
•
로블록스 내 주요 사용: 루아우의 주요 응용 분야는 로블록스 플랫폼에서의 게임 스크립팅입니다. 이는 로블록스의 모든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구동합니다. 루아우는 게임 로직 구현(예: 충돌 처리, 점수 계산), 사용자 상호 작용 처리(예: 플레이어 입력에 대한 응답), 동적 환경 생성(예: 절차적 생성), 애니메이션 스크립팅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로블록스 엔지니어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코드 및 로블록스 스튜디오 에디터 플러그인의 일부를 작성하는 데 루아우를 사용합니다. 여기에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상당 부분이 포함됩니다.
로블록스 생태계 내에서 루아우의 중심적인 역할은 대규모의 다양하고 실시간으로 상호 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합함을 강조합니다. 성능 및 샌드박싱 기능은 이러한 환경에 특히 적합합니다. 로블록스가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자체 내부 시스템의 상당 부분 모두에 루아우를 의존한다는 사실은 언어의 견고성과 확장성을 입증합니다. 성능 최적화는 복잡한 게임 로직의 원활한 실행을 가능하게 하며, 강력한 샌드박싱은 수백만 명의 다른 개발자의 코드를 실행할 때 플랫폼의 보안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
로블록스 외부의 새로운 응용 분야: 루아우는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사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MIT 라이선스 하에 오픈 소스로 공개되었습니다. 앨런 웨이크 2(Alan Wake 2), 파밍 시뮬레이터 2025(Farming Simulator 2025),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워프레임(Warframe) 등 다른 게임에서도 루아우를 채택했거나 고려 중인 사례가 있습니다. 이는 더 넓은 게임 개발 커뮤니티 내에서 루아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하이테일(Hytale)의 스크립팅 언어로 확정되었습니다. 하이테일은 마인크래프트(Minecraft) 제작자와 동일한 제작자가 만듭니다. 성능과 기능 덕분에 다른 게임 엔진 및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임베디드 스크립팅 언어로 적합합니다. 성능은 일부 경우 루아JIT와 비슷합니다.
다른 게임 엔진 및 프로젝트에서 루아우 채택이 증가하는 것은 로블록스 플랫폼을 넘어 잠재력을 가진 고성능의 기능이 풍부한 스크립팅 언어로 점점 더 인정받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추세는 루아우의 설계 선택과 최적화가 게임 개발 업계의 더 넓은 청중에게 매력적임을 시사합니다. 루아우가 오픈 소스로 공개됨으로써 로블록스 외부의 개발자들도 그 이점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능상의 이점과 점진적 타이핑 및 향상된 샌드박싱과 같은 기능은 빠르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스크립팅 언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게임 엔진 및 애플리케이션, 특히 리소스 집약적인 게임 개발 분야에서 매력적인 옵션입니다. 앨런 웨이크 2와 파밍 시뮬레이터 2025와 같은 주목할 만한 게임에서 채택된 것은 더 넓은 업계에서 루아우의 기능과 잠재력을 더욱 입증합니다.
VI. 루아우 코드 예시
•
기본 구문 및 변수: local을 사용하여 지역 변수를 선언하고 암시적으로 전역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local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nil, 부울, 문자열, 함수, 숫자(정수 및 부동 소수점은 단일 유형), 스레드, userdata 및 테이블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유형의 예를 보여줍니다. 테이블은 루아우의 핵심 데이터 구조입니다. 단일 행 주석(-)과 여러 행 주석(-[[ ]])을 사용하여 주석을 설명합니다.
-- 이것은 한 줄 주석입니다
local myNumber = 10 -- 숫자는 정수 또는 소수가 될 수 있습니다
local myString = "Hello, Luau!" -- 문자열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local myBoolean = true -- 부울 값은 true 또는 false입니다
local myTable = {1, 2, "three"} -- 테이블은 다른 데이터 유형을 담을 수 있습니다
local myNil = nil -- 값의 부재를 나타냅니다
print(myString)
Lua
복사
•
함수: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함수는 변수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를 전달하고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을 반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함수는 여러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local function greet(name)
return "Hello, ".. name
end
local greeting = greet("World")
print(greeting) -- 출력: Hello, World
local function add(num1, num2)
return num1 + num2, "Sum calculated" -- 여러 값 반환
end
local sum, message = add(5, 3)
print(sum, message) -- 출력: 8 Sum calculated
Lua
복사
•
조건 구조: 조건에 따라 코드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if, elseif, else 문을 보여줍니다. 조건은 부울 표현식을 평가합니다. 비교 연산자(==, ~=, >, <, >=, <=)와 논리 연산자(and, or, not)를 보여줍니다.
local age = 20
if age >= 18 then
print("Adult")
elseif age >= 13 then
print("Teenager")
else
print("Child")
end
Lua
복사
•
루프: for 루프(특정 횟수만큼 반복하는 숫자 for와 배열과 같은 컬렉션을 반복하는 ipairs 및 모든 테이블 항목을 반복하는 pairs와 같은 반복자를 사용하는 제네릭 for)를 보여줍니다. 조건이 참인 동안 실행되는 while 루프와 조건이 참이 될 때까지 한 번 이상 실행되는 repeat...until 루프를 보여줍니다.
-- 숫자 for 루프
for i = 1, 5 do print("Number:", i)
end
-- 제네릭 for 루프와 ipairs
local colors = {"red", "green", "blue"}
for index, color in ipairs(colors) do print(index, color)
end
-- While 루프
local j = 0
while j < 3 do print("While loop:", j) j = j + 1
end
Lua
복사
•
테이블: 배열(1부터 시작하는 숫자 인덱스 사용)과 딕셔너리(문자열 또는 기타 데이터 유형 키 사용)로 테이블을 만들고 액세스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테이블은 루아와 루아우의 기본 데이터 구조입니다. 테이블은 중첩될 수 있습니다.
-- 배열과 같은 테이블
local myArray = {"apple", "banana", "cherry"}
print(myArray[1]) -- 출력: apple
-- 딕셔너리와 같은 테이블
local myDictionary = {name = "John", age = 30}
print(myDictionary.name) -- 출력: John
-- 테이블은 중첩될 수 있습니다
local nestedTable = { info = {name = "Jane", city = "New York"}, items = {10, 20, 30}
}
print(nestedTable.info.city) -- 출력: New York
Lua
복사
•
루아우 특정 기능: 복합 할당 연산자(예: +=, =, =, /=)의 예를 보여줍니다. 이는 일반적인 할당 작업에 대한 약칭을 제공합니다. 루프의 다음 반복으로 건너뛰기 위한 continue 문을 보여줍니다. 변수 및 함수 서명에 대한 타입 주석을 보여줍니다.
local counter: number = 0
counter += 1
print(counter) -- 출력: 1
for i = 1, 5 do
if i == 3 then
continue -- i가 3일 때 반복 건너뛰기
end
print("Loop with continue:", i) -- 출력: 1, 2, 4, 5
end
local function add(x: number, y: number): number
return x + y
end
print(add(5, 3)) -- 출력: 8
Lua
복사
VII. 결론
루아우 프로그래밍 언어는 루아 5.1 버전에서 유래했으며, 최적화된 인터프리터와 선택적 JIT를 통한 성능 향상, 코드 유지 관리 용이성을 위한 점진적 타이핑 시스템, 로블록스와 같은 플랫폼에 중요한 강력한 샌드박싱 기능, 그리고 게임 개발 업계에서 점점 더 많은 채택을 특징으로 합니다. 로블록스 외부에서도 그 채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게임 개발 분야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의 기능이 풍부한 임베디드 스크립팅 언어로서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루아우는 대규모의 실시간 상호 작용 환경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진화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특히 게임 개발 및 사용자 생성 콘텐츠 플랫폼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